‘노년의 삶’을 바꾸는 기술
스마트도시가 노인을 위해 준비한 것들
“나이 들면, 도시도 낯설어진다”
젊을 땐 편하던 계단이 점점 무릎에 부담되고,
버스를 놓치면 다음 차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더 길게 느껴지죠.
노년의 삶은 단순히 시간이 흐르는 게 아니라, 생활의 방식 자체가 바뀌는 순간들의 연속입니다.
이런 일상 속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가 먼저 변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스마트도시는 고령자를 위한 도시로 진화 중입니다.
■ 스마트도시에서의 노인 맞춤 서비스는?
스마트도시는 단지 자율주행차나 AI 기술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진짜 스마트한 도시는 고령자도 쉽게, 안전하게, 편리하게 살아갈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합니다.
✅ 1. 스마트 건강 돌봄 서비스
- 고령자 주거지에 혈압계·활동센서·위급 상황 감지기 설치
- 이상 징후 발생 시 보호자 또는 관제센터 자동 알림
- 일부 지자체는 AI 스피커를 통한 약 복용 알림, 안부 확인 기능도 도입
📍 예: 경기도 성남시 ‘스마트 헬스케어 시범사업’
✅ 2. 외출이 편해지는 교통 시스템
- 보행자 감지형 스마트 횡단보도 → 보행 속도가 느린 어르신에게 신호 시간 자동 연장
- 버스 접근 알림 센서 → 시각장애 또는 노약자가 버스 도착 여부 음성 안내
- 일부 지역은 전동휠체어 전용 버튼이 있는 스마트 정류장 운영
📍 예: 서울·부산 일부 지역 ‘스마트스테이션’ 설치
✅ 3. 혼자 살아도 안심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망’
- 고령 1인가구에 스마트 스위치 설치 → 전기 사용량이 일정 시간 없으면 자동 알림
- 비상벨 내장 스마트폰 앱 → 쓰러짐 감지 시 자동 신고
- CCTV AI 분석 기술로 쓰러짐·움직임 이상 감지 시 즉시 신고
📍 실제 사례: 인천 서구, 2024년 고령자 안심주택 시범 도입
✅ 4. 공공시설 예약도 '간편하게'
- 스마트폰 활용이 익숙하지 않아도,
음성으로 복지시설 예약 가능,
AI 키오스크에서 주민등록번호 없이 터치 한 번으로 민원 접수 - 고령자 전용 디지털 교육센터(스마트 시민학교) 운영도 확대 중
📍 예: 서울시 디지털배움터, 전국 1,000여 개소 운영
📊 고령친화 스마트도시 실제 적용 사례
도 시 | 주 요 시 도 내 용 |
세종시 | 고령자용 맞춤형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무인택배함 도입 |
서울시 | AI 스피커 기반 안심 서비스, 복지+건강 통합관리 |
부산시 | 고령자 대상 스마트 통합돌봄 플랫폼 구축 |
전주시 | 고령자 주거지역 중심 스마트가로등·스마트횡단보도 확대 |
💬 시민의 삶을 먼저 생각하는 도시
기술은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
그중에서도 **가장 배려 받아야 할 사람은 ‘몸이 느려진 이들’**일지 모릅니다.
스마트도시는 단지 혁신이 아니라,
모두가 살기 편한 도시, ‘포용도시’로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나이 들어도 안전하고, 편하고, 외롭지 않은 도시.”
그게 바로 진짜 ‘스마트’한 도시가 아닐까요?
다음 편 예고
스마트도시 생활 시리즈 ③: 어린이와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시티 기술
– 약자 중심의 도시 설계, 어디까지 왔을까?
'부동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자산관리, 이제는 선택 아닌 필수! 초고령사회의 현명한 대비법 (1) | 2025.05.15 |
---|---|
스마트도시 생활 시리즈 ③ (0) | 2025.05.14 |
스마트 도시 생활시리즈-1 (0) | 2025.05.12 |
🌐 미래를 바꾸는 도시--스마트도시(Smart City) (1) | 2025.05.11 |
🏠 노후대책 시리즈 ④ - 공공임대주택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