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이 동네 전월세/매매 시세가 얼마인지 어떻게 확인하죠?”
처음 부동산을 알아보는 분들이 가장 먼저 궁금해하는 것,
바로 시세입니다.
가격적정여부를 알아야 예산을 세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비싼 건가, 싼 건가?”를 확인하려면
공신력 있는 시세 확인 방법을 아는 게 포인트입니다.
오늘은 실거래가부터 평균 시세, 시세 트렌드 보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 부동산 시세란?
부동산 시세는 실제로 거래되거나 부동산 업계에서 통용되는
매매가 또는 전세가의 평균 가격을 말해요.
시세는 다음 3가지로 나눠서 확인할 수 있어요:
- 실거래가 – 실제 계약된 금액 (국토부 공개)
- 시세 추정가 – 빅데이터 기반 예상가 (플랫폼 제공)
- 중개업소 견적 – 현장 감각이 반영된 가격
📍 부동산 시세 확인 방법 5가지
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 사이트: rt.molit.go.kr
- ✅ 장점: 실제 거래된 가격만 표시됨 (가장 신뢰도 높음)
- 📌 활용법:
- 주소/아파트명 검색 → 거래일, 가격, 층수까지 확인 가능
② KB 부동산 시세
- 사이트: https://kbland.kr
- ✅ 장점: 국내 은행이 활용하는 공식 시세 기준
- 📌 활용법:
- 아파트명 검색 → 매매, 전세 시세 범위 + 평형별 가격 제공
- 상승/하락 트렌드 그래프 포함
③ 호갱노노 (앱/웹)
- ✅ 장점: 실거래가, 학군, 커뮤니티 리뷰까지 한눈에
-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앱입니다. 리뷰가 잘되어 있고 간단한 Q & A 는 실거주자들의 피드백이 빠르기도 합니다.)
- 📌 특징:
- 실거래가 + 매물 정보 + 입주 예정 단지 확인 가능
- 청약 정보도 함께 제공
- 공시가격도 제공되어 재산세와 취득시 비용등이 제공됨
④ 네이버 부동산
- ✅ 장점: 매물 정보 + 시세 범위 확인 가능
- 📌 활용법:
- 지역별 아파트 검색 → 현재 매물 + 과거 실거래가 비교
⑤ 아실 (아파트 실거래가 알리미)앱/웹
- ✅ 장점: 실거래가중심, 시장흐름분석, 입주정보확인가능
- “깡통전세 위험도” 색상으로 표시되니 참고용으로 좋음.
🧾 예시 – 서울 마포구 A아파트 전세 시세 확인
플랫폼 | 전세시세 | 실거래가 |
국토부 | 5억 3천만 원 (23년 11월) | 5억 2천만 원 (24년 1월) |
KB시세 | 5.1억 ~ 5.4억 | — |
호갱노노 | 5억 초반대 다수 거래 | +학군 정보 제공 |
네이버 | 5.2억~5.5억 매물 등록 | 매물별 중개 연락 가능 |
✅ 결론: 여러 플랫폼을 비교해 평균적인 시세 감각을 익히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시세 확인 시 주의할 점
- 매물 가격 ≠ 실거래가 → 실제 계약가는 더 낮을 수 있음
- 중개사 말만 믿지 말고, 직접 비교 필수
- 신축/구축 여부, 층수, 방향에 따라 차이 큼
- 최근 3~6개월 거래 기준으로 확인하는 것이 적절
📝 요약
- 부동산 시세 확인은 ‘실거래가’ 기준이 가장 정확
- 국토부, KB부동산, 호갱노노 등 공신력 있는 플랫폼을 활용
시세 확인은 전세 계약, 매매 판단, 전세 사기 방지에 필수!
'부동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등기 이전 절차와 비용 총정리 (0) | 2025.04.14 |
---|---|
부동산 매매계약서 설명 – 항목별 해설로 꼼꼼히 알아보기 (0) | 2025.04.13 |
내 보증금 지키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가입 (0) | 2025.04.12 |
소액보증금 기준과 지역별 우선변제 범위 – 전세 보증금 안전하게 지키는 법 (0) | 2025.04.12 |
우선변제권과 대항력의 차이점 – 전세보증금 보호의 핵심 개념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