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이야기72

김해부터 기장까지, 동서를 하나로 연결하는 부산 외부순환도로 부산의 도심 교통 혼잡을 해소하고, 경남권과 동해안권을 연결하는 핵심 축! 바로 부산 외곽순환도로입니다.김해시 진영읍에서 시작해 부산 기장군 일광읍까지 총 48.8km를 잇는 이 고속도로는 외곽순환도로로서 동남권 교통의 흐름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습니다. 외곽순환도로란? ‘외곽순환도로’란 도시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를 따라 우회할 수 있는 도로망을 말합니다. 서울에는 ‘서울외곽순환도로(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가 있듯, 부산도 자체적인 외부순환축을 통해 교통 분산과 지역 연결의 허브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부산 외부순환도로입니다. 부산 외곽순환도로 개요 ● 정식 명칭: 부산 외곽순환고속도로 ● 연장: 총 48.8km ● 주요 경유지: 김해, 강서구, 사상구, 금정구, 기장군 ● 착.. 2025. 5. 18.
부산 최초 대심도 지하도로, 만덕~센텀 고속화도로! 부산 시민들의 오랜 숙원이자, 도심 교통의 판도를 바꿀 '만덕~센텀 지하 고속화도로'가드디어 모습을 드러냅니다. 부산 내부순환도로의 핵심축이자, 부산 최초의 대심도 지하도로인 이 구간은북구 만덕에서 해운대구 재송동 센텀시티까지 약 9km에 달하는 도심 지하 고속도로입니다. 만덕~센텀 지하도로의 주요 개요구 분내 용구간만덕동(북구) ↔ 센텀시티(해운대구 재송동)차로 수왕복 4차로총 연장약 9km개통 시점2026년 1월 예정통행료최대 2,160원 (시간대별 차등)요금 징수 방식스마트톨링(무정차 과금, 요금소 없음) 🚦 참고로 통행료는 40년간 징수될 예정이며, 스마트톨링 시스템을 통해 정차 없이 자동 결제가 됩니다.이동 시간, 이렇게 단축됩니다!현재 만덕 ↔ 센텀시티 구간은 일반 도로 기준 41.8분.. 2025. 5. 17.
부산시 내부순환도로 - 터널부터 교량까지 연결되는 부산 도로망의 핵심 부산, 그 이름만 들어도 바다와 항만, 그리고 복잡한 도심 도로망이 떠오릅니다.이 도심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교통의 대동맥이 바로 내부순환도로입니다.고속도로급 지하터널, 대형 교량, 주요 IC를 연결하며 부산 도로망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내부순환도로에 대해 한눈에 정리해 봅니다.부산시 내부순환도로 란?부산시 내부순환도로는 부산 시내를 하나의 순환망처럼 연결하여혼잡한 시내 교통을 우회하고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심 고속화 도로망입니다.지하차도, 터널, 고가도로, 대교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해고속도로 시내구간부터 을숙도대교, 광안대교, 센텀, 만덕, 구포까지 이어지는 순환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주요 구간 정리 - 부산 내부순환도로 핵심 라인업① 남해고속도로 시내구간덕.. 2025. 5. 16.
치매자산관리, 이제는 선택 아닌 필수! 초고령사회의 현명한 대비법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정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 이른바 ‘치매머니’가 무려 154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제는 개인과 가족 모두가 치매자산관리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과 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치매자산관리가 중요한 이유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2023년 기준 고령 치매환자는 약 124만 명이며, 이 중 자산 보유자는 76만 명으로 총 자산 규모는 GDP의 6.4%인 154조 원에 달합니다.특히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74.1%로 가장 높으며, 이처럼 치매로 인해 동결된 자산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2050년에는 치매머니가 488조 원, GDP의 15.6%에 이를 것으로.. 2025. 5. 15.
스마트도시 생활 시리즈 ③ 스마트도시는 약자를 어떻게 배려할까?어린이와 장애인을 위한 ‘진짜 스마트한’ 기술들“기술은 모든 사람에게 편리해야 한다”자율주행차, 인공지능, 빅데이터…이런 단어들 속에 과연 ‘약자를 위한 배려’도 들어 있을까요?스마트도시는 그저 똑똑한 도시가 아닙니다.모두가 안전하고, 편하고,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 도시가 되어야 진짜 스마트합니다.오늘은 어린이와 장애인, 즉 도시의 약자들이어떻게 스마트도시 속에서 보호받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어린이를 위한 스마트시티 기술✅ 1. 스마트 스쿨존 (AI 어린이 보호구역)CCTV + AI 분석 기술로 보행 중인 어린이 자동 인식운전자에게 시각·음성 경고, 일부 지역은 차량 자동 감속스마트 횡단보도에는 LED 바닥조명, 보행자 감지 신호 설치📍 실제 .. 2025. 5. 14.
스마트도시 생활 시리즈 ② ‘노년의 삶’을 바꾸는 기술스마트도시가 노인을 위해 준비한 것들“나이 들면, 도시도 낯설어진다”젊을 땐 편하던 계단이 점점 무릎에 부담되고,버스를 놓치면 다음 차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더 길게 느껴지죠.노년의 삶은 단순히 시간이 흐르는 게 아니라, 생활의 방식 자체가 바뀌는 순간들의 연속입니다.이런 일상 속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해도시가 먼저 변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스마트도시는 고령자를 위한 도시로 진화 중입니다.■ 스마트도시에서의 노인 맞춤 서비스는?스마트도시는 단지 자율주행차나 AI 기술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진짜 스마트한 도시는 고령자도 쉽게, 안전하게, 편리하게 살아갈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합니다.✅ 1. 스마트 건강 돌봄 서비스고령자 주거지에 혈압계·활동센서·위급 상황 감지기 설치이상.. 2025.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