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이야기

정비사업 투자 시 피해야 할 유형 TOP 5 – 이런 매물 주의!

by congna 2025. 4. 17.

🏚 “재개발 들어간다니까 샀는데, 5년째 아무 일도 없네요…”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은 큰 수익을 안겨줄 수 있는 반면,
자금이 장기간 묶이거나 아예 무산되는 위험도 존재합니다.

특히 정보가 부족한 초보 투자자일수록
소문만 듣고 투자했다가 큰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글은
정비사업 투자 시 절대 피해야 할 5가지 위험 유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비사업


❌ 1. ‘추진 예정’만 있고 행정 절차는 없다??

📍 "이 동네 곧 재개발 들어간대"라는 소문만 듣고 투자하면 절대 안 됩니다.

구  분 설  명
❌ 정비예정지구 단순 검토 중, 추진 여부 미정
❌ 정비계획안 지자체 내부 검토 단계
✅ 정비구역 지정 고시 사업 시작의 법적 기준점
✅ 조합설립인가 고시 투자 가능 구간 진입

💡 "계획"은 구체적인 행정 절차가 없으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정비사업 정보는 정비사업 통합정보시스템이나 지자체 고시자료로 확인하세요.


❌ 2. 조합 내부 갈등이 극심한 구역

📍 "조합장이 횡령했다더라", "총회마다 소송전"
이런 구역은 공사 시작까지 수년 이상 지연될 수 있습니다.


위 험 요 인 설 명
조합장 불신임 / 해임 집행부 공백
총회 파행 의사결정 마비
고소·고발 건 다수 사업성 하락, 금융비용 증가
비대위 결성 반대 세력 증가로 사업 지연

💡 조합 갈등이 있는 지역은 투자 시 항상 뉴스 검색 + 카페 분위기 확인이 필수입니다.


❌ 3. 안전진단 미통과 재건축 단지

📍 재건축은 안전진단 통과 없이는 아무것도 시작되지 않습니다.

안 전 진 단 결 과 재 건 축 가능 여부
D등급 이하 ✅ 재건축 추진 가능
C등급 (조건부) ⚠ 지자체 승인 여부 따라
B등급 이상 ❌ 재건축 불가 (보수 권장)

💡 진단 통과 전 투자 시에는 고위험군으로 간주하세요.
특히 고가 단지일수록 손실 리스크가 큽니다.


❌ 4. 권리산정 기준일 이후 매물 (투자 불가)

📍 조합 설립 후엔 ‘권리산정 기준일’이 정해집니다.
그 날짜 이후에 매입하면 조합원 자격을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즉, 조합원의 매물을 구입하여야 합니다.


구  분 내  용
기준일 이전 취득 조합원 자격 인정
기준일 이후 취득 조합원 자격 ❌ or 분양권 없음
‘현금청산 대상’ 전환 일반분양도 안 되고 보상금만 받는 구조

💡 부동산 매수 시에는 반드시 ‘권리산정 기준일’ 확인이 필요합니다.
‘조합원입니까?’라는 질문은 꼭 계약 전에 해야 합니다.
권리산정기준일 이후에 매입한 매물은 “조합원 자격”이 없기 때문에 투자 시 매우 신중해야 하며,
반대로, 이미 조합원 자격이 부여된 매물(즉, 조합원 매물)은 투자 가치가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 5. 정비구역 해제 가능성이 높은 곳

📍 “이 동네 재개발 해제된대요…”
재개발은 주민 동의율 미달, 사업성 부족 등으로 해제될 수도 있습니다.


해제 요인 설  명
동의율 기준 미달 토지등소유자 50% 미만
민원 과다 사업 반대 주민 다수
지자체 판단 공공성 부족, 사업성 낮음
사업 지연 5년 이상 답보 시 자동 해제 가능

💡 정비계획이 해제되면 건물 철거·신축 제한도 풀리므로, 투자 가치 급락합니다.

 


📝 요약


유  형 피해야 할 이유
① 추진만 있고 고시는 없음 사업 추진 불확실
② 조합 갈등 진행 지연, 리스크 큼
③ 안전진단 미통과 재건축 추진 불가
④ 기준일 이후 매입 조합원 분양 불가
⑤ 정비구역 해제 우려 투자 가치 급락

🎯 투자 전 체크체크!

  • ✅ 지자체 고시 여부 (정비구역 지정/조합 인가 등)
  • ✅ 조합 내부 분쟁 여부
  • ✅ 안전진단 통과 결과 (재건축 한정)
  • ✅ 권리산정 기준일
  • ✅ 최근 해제 사례 있는지 (해당 구역 포함 여부)